그리즈만에 대한 맨유의 관심이 식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여름 그리즈만이 맨유의 메인 타겟이였지 않았나?


맞다. 그랬었다. 무리뉴는 그리즈만을 즐라탄의 파트너로 봤다. 몇개월 동안 사전 작업도 해왔었다.


개인적인 합의의 틀도 있었고 맨유는 충분히 바이아웃 금액인 87m파운드를 지르고자 했다.



그럼 왜 지금 단계에서는 눈을 돌렸나?


이번 목요일 맨유 고위 관계자가 준 소스에 따르면 즐라탄이 유로파 8강 2차전에 십자인대 부상을 당한 후 그리즈만 영입을 최근 몇주 간 다시 생각해보기로 했다.


그래서 그들은 클래식 No. 9번 스타일이나 그리즈만 같이 빠른 스타일이 아닌 즐라탄과 같은 타겟맨을 원했다.




하지만 만약 맨유가 즐라탄이 부상당하기전에 새로운 스트라이커를 원했다면 왜 갑자기 돌아섰나?


즐라탄 부상이후에도 타겟맨과 그리즈만 다 원하는 줄 알고 있었다.


지난주까지만 해도 맨유 고위 관계자들이 그리즈만 협상을 진행중인 느낌을 받았었다.




맨유가 이번 이적을 돌아설 만한 다른 이슈가 있었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바이아웃(87m파운드)의 절반을 일시불로 지급하라는 요구가 문제를 일으킬수 있다는 리포트들이 있었지만, 이게 딜을 엎을만큼 충분하다고 믿기 힘들다.


AT마드리는 이번 목요일 이적징계 항소를 기각 당했고 올해 안에 선수등록을 할 수 없다.


하지만 AT마드리드는 맨유가 바이아웃을 발동시키고 그리즈만이 떠나길 원하면 막을 수 없다.




그래서 이제 그리즈만 이적은 끝난건가?


맨유는 계속 그리즈만에 관한 관심을 이어갈꺼고 미래에 영입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로썬 뒤로 밀려난 상황이다.




그럼 그리즈만이 아니라면 누가 타겟인가?


루카쿠, 벨로티, 모라타 이 선수들이 No.9번에 적합하고 맨유와 크게 링크되어 있다.




그들 중 누구와 가능성이 있나?


루카쿠와 벨로티는 큰 문제가 없지는 않다. 


에버튼은 루카쿠의 몸값으로 100m파운드를 요구하고 있다. 문제는 첼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벨로티는 87m파운드의 바이아웃이 있다. 


좋은 시즌을 보냈지만 문제는 많은 돈을 쏟아붓기엔 프리미어 경험이 없고 증명하지 못한 문제들이 남아있다.


AC밀란과 링크되어있는 모라타도 많은 돈이 필요하다.


그는 최근 다른 선수들 때문에 주로 서브에서 뛰었다.


호날두와 다시 사인하거나 베일을 데려오려는 노력은 최근 몇년동안 없었다.




그래서 이제 그리즈만은 어떻게 되나?


다른 클럽들이 바이아웃을 지르지 않는 이상 지금으로서는 AT마드리드에 남을 것 같다.


AT는 개선된 조건으로 그리즈만에게 계약 연장을 시도 할 것이다. 이게 실현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출처:

http://www.telegraph.co.uk/football/0/antoine-griezmann-manchester-united-will-transfer-happen-summer/

블로그 이미지

똠똠꼬

깊게 알지는 못해도 얕게 아는 얘기들

,

 

6월02일 (로이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파리기후협정 탈퇴로 미국이 경제 위기를 피하고 일자리를 보호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많은 미국 기업들은 이를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페이스북과 애플, 포드, 마이크로소프트 등 블루칩 기업들은 트럼프의 결정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인 반면, 미국의 탄소배출 기준 완화로 가장 큰 이득을 보게되는 화석연료 관련 기업들은 조용했다.

 

테슬라의 CEO 엘론 머스크와 월트디즈니의 CEO 로버트 아이거는 트럼프의 이번 결정에 백악관 자문위원회를 그만두겠다고까지 했다.

 

세계석탄협회의 벤자민 스포튼 회장은 이날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발표에 복잡한 심경이라며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석탄이 설 자리를 적극적으로 마련해줄 미국의 정책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포튼 회장은 "우리가 진정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것은 대통령이 협정 재가입을 원한다면 석탄을 포함한 모든 에너지 소스의 역할을 인정하도록 합의를 변경시킬 수 있는지다"라면서 협회가 정부 관리들에게 협정을 유지하는 것의 이점들에 대해 설명해주었다고 덧붙였다.

석유 및 가스업계의 최대 단체인 미국석유협회(API)는 파리협정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취한 바가 없다는 내용의 성명을 내놓았다.

 

엑손모빌, 코노코모빌 등 API의 일부 회원사들은 공개적으로 파리협정을 지지했다.

엑손모빌의 CEO 데런 우드는 31일 기자들에게 "기후 변화의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그와 같은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일부 다른 단체들은 트럼프의 결정이 이 협정이 가진 문제점들을 바로잡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며 조심스럽게 지지 의사를 밝혔다.

 

전미제조업협회의 에너지 및 원자재 정책 담당 로스 아이젠버그 부사장은 로이터에 보낸 성명에서 "제조업체들은 파리 협정의 정신을 지지하며, 공정한 국제적 합의를 통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려는 노력을 지지한다. 그러나 대통령이 지적했듯이 이 협정의 일부 요소들은 미국 제조업체들에게 공정하지 않다"고 밝혔다.

 

미국 최대 석탄기업인 피바디 에너지의 대변인은 31일 "파리협정이 여러 관점에서 결함이 있기 때문에" 탈퇴 결정을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광업협회와 미국연료및석유화학기업협회 등의 대변인들은 파리 협정 탈퇴 결정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

 

그러나 많은 재계 지도자들은 이를 단호히 비판했다.

 

골드만삭스의 CEO 로이드 블랭크페인은 생애 최초의 트윗에서 "오늘의 결정은 환경과 세계에서 미국이 가진 리더십 포지션의 후퇴"라고 비판했고, 제너럴일렉트릭의 제프 이멜트 회장도 트위터를 통해 "파리 협정에 대한 오늘의 결정에 실망했다. 기후 변화는 실제적인 것이다. 이제 업계가 정부에 의지하지 말고 리드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애플의 CEO 팀 쿡은 트위터에 "파리협정 탈퇴 결정은 우리의 지구를 위해 잘못된 것"이라면서 "애플은 기후 변화와의 싸움에 전념할 것이며 절대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 CEO도 페이스북 포스트를 통해 "파리 기후협정 탈퇴는 환경에 좋지 않고, 경제에도 좋지 않으며,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험에 처하게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출처:

https://kr.investing.com/news/economy-news

블로그 이미지

똠똠꼬

깊게 알지는 못해도 얕게 아는 얘기들

,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인 종교인 과세를 계획대로 추진하라는 주장이 제기 되고 있다.

 

5월 31일 한국 납세자연맹은 종교단체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은 뜻을 전했다.

 

특히 내년으로 예정된 종교인 과세를 2년 더 미뤄야 한다는 김진표 국정기획자문위원장에게 항의를 하고 김 위원장이 특정 종교에 치우친 나머지 공평과세의 원칙을 훼손하려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 수원에서 네 차례 연속 국회의원에 당선된 김 위원장은 수원중앙침례교회 장로이자 더불어민주당 기독신우회장을 맡고 있는 독실한 개신교 신자인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위원장은 내년 1월 시행되는 종교인 과세를 2020년으로 늦추는 소득세법 개정안을 준비 중이다.

 

“종교인 과세에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지금은 전혀 준비가 안 돼 오히려 혼란만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시민단체와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는 김 위원장의 이런 주장에 대해 넌센스라고 반박하고 있다.

 

종교인 과세를 위한 별도의 준비는 필요 없다는 것이다. 그동안 세금을 안 내던 종교인이 일반 노동자처럼 벌어들인 돈을 소득세법에 따라 신고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종교인 과세에 대해 청와대와 여당의 입장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청와대와 국정기획위는 “종교인 과세 유예는 김 위원장 개인의 의견”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한편 OECD 국가중 종교인 과세를 하지 않는 국가는 우리나라밖에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내년으로 예정된 종교인 과세가 계획대로 내년부터 시행될지 2년 유예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블로그 이미지

똠똠꼬

깊게 알지는 못해도 얕게 아는 얘기들

,